디자인서울 정책과 가장 큰 마찰을 빚고 있는 사람들은 다름 아닌 거리의 영세상인들이다. 서울시는 2007년 디자인서울거리 10여 곳을 조성한 데 이어 올해 20여 곳을 추가로 지정했다. 여기에 투입한 예산이 2년간 1333억원에 이른다.
오 시장은 ‘서울을 디자인하라’ 강연회에서 디자인 거리 조성을 위해 노점상과 마찰도 피하지 않겠다는 뜻을 명확히 밝혔다. “노점이 전부 정리가 된다. 앞으로 서울시에서 노점을 하려면 서울시가 정해준 거리에서, 서울시가 정해준 간격대로, 정해준 디자인으로, 정해준 업종을, 정해준 시간대에만 할 수 있다.”
오 시장의 의지 때문인지, 노점 단속은 현장에서 가혹한 방식으로 벌어지고 있었다. 대표적인 곳이 홍대 앞 거리다. 이곳이 디자인 거리로 지정되면서 노점상들은 관할 구청인 마포구청과 심한 마찰을 빚고 있다.
지난달 20일 구청이 고용한 용역직원들은 노점상들의 물건을 압수하고, 커터 칼로 천막을 찢어놓는 등 행패를 부렸다. 노점상들은 “마포구가 디자인거리 조성금으로 서울시가 내려보낸 40억원 가운데 2억원을 용역 철거반을 고용하는데 썼다”고 주장했다.
노점상 이경민(31)씨는 “우리도 시민들과 함께해야 하기 때문에 보기 좋게 보행권도 확보하려고 (마포구청과) 협상도 하고, 디자인 거리 규격화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며 “겉으로는 노점을 합법화해준다고 하면서 뒤로는 용역을 사서 이렇게 단속하고 무자비하게 폭력을 쓰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노점상 1천여명은 지난 1일 마포구청 앞에서 ‘생존권을 보장하고 용역 깡패를 해체하라’며 항의시위를 벌였다. 노점상들은 삭발을 하고 철거작업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로 하는 등 디자인거리 사업에 대한 반대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디자인 거리 조성을 둘러싼 이런 마찰은 5년전 이명박 서울시장이 청계천 사업을 추진하면서 용역 직원들을 동원해 노점상을 몰아내고 공사를 시작했던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수정 서울시의원은 “‘이명박만 개발했느냐, 오세훈도 아닌 것 같으면서도 너무나 개발 정책을 많이 쓰고 있다’는 주장들이 많다”며 “그런 점이 많은 곳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오세훈의 시정을 신개발주의 정책이라고 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
» 12월 1일 마포구청 앞 집회 도중 한 노점상이 “우리도 세금내고 사는데 왜 죽이려 하느냐”며 통곡하고 있다. <영상화면 캡처> |
| |
|